본문 바로가기
AWS

AWS 컴퓨팅 서비스

by eoruadl 2022. 10. 17.

 컴퓨팅 서비스는 가상 서버를 중심으로 AWS의 핵심이 되는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컴퓨팅 서비스란 가상 서버를 중심으로 컴퓨터 인프라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컴퓨팅 서비스 5가지에 대해 알아보자

1. EC2 ( Elastic Compute Cloud)

2. 람다

3. ECS

4. 라이트세일

5. 빈스톡

EC2 ( Elastic Compute Cloud)

 EC2는 엘라스틱 컴퓨터 클라우드의 약자로 종량제 형태로 내가 쓴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형태의 가상 서버이다. 업체가 전반적인 컴퓨터 리소스를 관리해주며 사용자는 EC2 인스턴스라고 하는 개별 인스턴스에 대한 총체적인 권한을 받는다. 인스턴스는 AWS에 구축된 1대의 가상 서버를 의미한다.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유형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유형은 서로 다른 컴퓨팅, 메모리, 스토리지 용량 등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용량에 따라 서로 다른 인스턴스 패밀리로 분류된다. AWS에서 활용 범위가 가장 높은 컴퓨팅 서비스이다.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은 직접 관리해야하지만 네트워크와 스토리지, 서버나 가상화 등은 신경쓰지 않아도 업체에서 관리해준다.


람다

 특정한 이벤트를 통해 입력 인자가 발생하면 연산 과정으로 출력 인자를 바꾸는 이벤트 기반의 컴퓨팅 서비스이다.

 EC2와 다르게 오직 소스코드만 사용하여 인프라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완전 관리형 컴퓨팅 서비스이다.

 

 람다는 데이터 계층을 제공해주지 않으며 애플리케이션 동작 코드만 작성해주면 별도의 데이터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ECS ( 파게이트 )

 AWS에서 제공하는 도커 컨테이너 서비스로 PaaS (Platform as a Service) 로 구분한다.

 

 EC2와 다르게 운영체제를 관리할 필요가 없지만 런타임은 직접 설정해야 한다.


라이트세일 ( Lightsail )

 완전 관리형 가상 서버 서비스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SaaS와 가장 가까운 서비스로, 어떠한 인프라 설정 없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바로 작동 시킬수 있다.


빈스톡 ( Beanstalk )

 빈스톡는 EC2의 설정을 쉽게 도와주는 서비스로 서버의 런타임부터 운영체제 환경까지 관리해주며 사용자는 소스코드만 업로드하여 바로 운영할 수 있다.

 

 ECS는 런타임을 직접 설정해야한다면 빈스톡은 런타임을 고를수 있고 추가적으로 런타임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서버 OS 종류  (0) 2022.10.21
EC2란?  (0) 2022.10.20
클라우드의 종류  (0) 2022.10.17
AWS 클라우드 인프라  (0) 2022.10.14
IaaS, PaaS, SaaS  (0) 2022.10.11

댓글